-
1. 스프린트 회고란?
-
2. 스프린트 회고의 중요 사항
-
1) 목표, 회고 형식 및 특정 질문 안내 (5~10분)
-
2) 온도 체크 (5~10분)
-
3) 이슈 도출 / 생각 정리 (15~20분)
-
4) 이슈 리뷰 / 생각 검토 (20~30분)
-
5) 이슈 투표/ 투표 결과 확인 / 행동 및 개선 항목 브레인스토밍 (10~20분)
-
6) 토론 종료 (5분)
-
3. 스프린트 회고 체크리스트
-
1) 도구와 기술
-
2) 준비할 사항
-
3) 산출물
-
4) 활동 후 조치 사항
-
4. 스프린트 회고의 수행 요령
-
1) 온라인으로 수행
-
2) 대면 스프린트 회고 진행
-
5. 발생할 수 있는 이슈와 극복 방법
-
1) 팀이 통제할 수 없는 개선 항목에 집중하고 있는 경우
-
2) 팀이 부정적인 점, 이슈 및 잘 되지 않은 사항에 지나치게 치우치는 경우
-
ref.

1. 스프린트 회고란?
스프린트 회고는 애자일 팀이 완료된 스프린트 수행에서의 교훈을 정리하고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팀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한 활동이에요. 즉, 개인과 팀의 지속적인 개선 활동이에요. 그리고 보통 스크럼 마스터가 스프린트 회고를 리딩 해요.
2. 스프린트 회고의 중요 사항
2주 스프린트의 경우 1시간 30분 이내로 제한되어 잘한 항목, 잘못한 항목, 개선할 항목을 확인해요.
1) 목표, 회고 형식 및 특정 질문 안내 (5~10분)
스프린트 회고의 목표는 팀이 수행할 수 있는 개선, 작은 개선, 지속적인 개선을 식별하고, 팀이 수행한 방법을 계획하여 작업효율을 개선하기 위하는 데 있어요. 팀원들에게 먼저 회고 목표를 설명하는 것이 좋아요.
- 회고 주제 안내 : 회고를 돌아보게 될 '프로젝트' 혹은 '기간'을 간단히 설명해요.
- 회고 방식 안내 : 아래에 안내될 '회고 진행 순서'를 간단하게 설명해요.
- 회고 원칙 설명 : 회고 참여자들이 지켜야 할 회고의 원칙과 규칙을 설명해요.
- 휴대폰 또는 회고 진행에 방해가 되는 도구들은 회고에 진행되는 동안 사용하지 않아요.
- 모든 발언에는 반드시 '감정'을 배제해요.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진행해 주세요.
- 이슈를 정리할 때는 반드시 '개인 의견'은 배제해요.
- 회고 시간 동안에는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결과가 나오면 받아들여주세요.
2) 온도 체크 (5~10분)
진행자를 포함한 모든 참여자의 컨디션을 확인하는 시간이에요. 어떤 참여자는 컨디션이 좋아 누군가의 발언권을 빼앗을 정도로 의욕적일 수 있고, 어떤 참여자는 컨디션이 안 좋아 금세 감정적인 발언을 할 수 있는데, 이를 미리 파악해서 회고의 과정을 유연하게 만들 수 있어요. 그리고 온도 체크의 과정을 회의 진행 전 아이스 브레이킹 역할을 해줘요. 애자일 회고는 모두가 솔직하게 발언을 하는데 의미가 있어서, 분위기를 풀어주는 온도 체크의 과정이 있으면 좋아요.
- 각자 본인의 오늘 컨디션을 0 ~ 5의 점수로 표현해 주세요.
-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본인의 컨디션 점수를 공개하며 왜 컨디션이 n점인지 간단하게 공유해 주세요.
3) 이슈 도출 / 생각 정리 (15~20분)
회고 중 가장 중요한 과정이에요. 특정 기간, 혹은 프로젝트의 성과에 영향을 주었던 긍정적/부정적 이슈를 도출하는 과정이에요.
팀원들에게 용지나 도구에 자신의 생각을 적도록 해요. 이 과정은 함께 논의하는 단계가 아닌 각자 개인 의견을 도출하는 과정이에요.
15분이 되면 팀원들에게 시간이 더 필요한지 또는 마무리할지 물어보세요.
4) 이슈 리뷰 / 생각 검토 (20~30분)
팀원들이 추가한 생각을 공유하게 하거나 진행자가 적은 내용을 읽어 모든 사람의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요.
최대한 감정을 배제한 상태로 각 이슈를 설명하고, 이 과정에서 비슷한 이슈끼리 그루핑 해서 진행 순서를 결정해요.
그 후 왼쪽부터 순서대로 이슈를 적은 사람이 약 30초 간 해당 이슈를 작성했는지 설명해요.
- 진행자는 비슷한 거나 같은 내용의 이슈가 있는지 확인하며, 설명의 순서를 정돈해 주세요. 이 과정에서 그루핑은 단순 정돈의 수준이고, 큰 주제별로 정돈할 필요는 없어요. 단순히 비슷하거나 같은 이슈만 그루핑 해주세요. 이슈에 대해 발언하는 사람은 해당 이슈가 어떤 이슈인지, 그리고 왜 중요하다고 생각했는지를 요약해서 발언해 주세요.
- 진행자는 이슈에 대한 발언에 따라, 객관적 시각으로 사건들을 정돈하는 발언을 하며, 서서히 특정 주제별로 그루핑 해요. 참여자의 시각에서 봐도 점차적으로 이슈들이 그루핑 될 거예요.
- 모든 이슈에 대한 발언이 끝나면, 최종적으로 이슈 그루핑(3~5그룹)을 완료하고, 이에 대해 정리 발언을 해주세요.
5) 이슈 투표/ 투표 결과 확인 / 행동 및 개선 항목 브레인스토밍 (10~20분)
팀원들이 모든 아이디어를 듣고 새로운 생각을 가질 수 있어요.
참여자들은 그루핑 되어 있는 이슈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슈에 대해 투표해 주세요.
- 현재 잘하고 있으니 발전시켜야 생각하는 이슈와 현재 잘 못하고 있는 이슈인데 꼭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슈로 분류해서 투표해 주세요.
- 각자 잘하고 있다, 개선이 필요하다 이슈에 대한 의견은 충분히 다를 수 있어요.
진행자와 참여자 모두가 함께 투표 결과를 확인하고 중요한 이슈만 남겨둬요. 한 표라도 투표를 받은 이슈를 남겨두고, 0표를 받은 이슈를 제거해 주세요. 투표를 행사한 이유에 대해 각자 간단히 발언하고, '중요도'에 대해 논의하는 순서예요.
최종 이슈를 결정하고, 목표를 확인해 주세요. 최종 이슈가 도출되면 자연스레 생기는 '목표'를 확인해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액션 플랜을 간단하게 브레인스토밍해요. 액션 플랜은 회고 과정에서 몇 번 언급됐을 확률이 높아요.
자유롭게 브레인스토밍하며, 3~5개 정도 리스트업을 하고 이를 모두가 확인 및 인지해요.
6) 토론 종료 (5분)
회고에서 나왔던 결과물을 모두 사진으로 찍어서 기록을 해두고, 기록 툴에 모두 기록해 주세요.
도출된 주요 이슈와 함께 최종 액션 플랜을 정리하여, 위에 함께 기록해 주세요.
3. 스프린트 회고 체크리스트
1) 도구와 기술
- 특정 테마나 목표를 계획하고 있다면 관련된 이미지를 수집하고, 도구를 설정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다른 소품을 미리 준비해요.
- 스프린트 회고 전에 의견과 생각을 미리 메모할 수 있도록 미리 안내해요.
- 회고 미팅 동안 도구를 사용할 경우 행사 전에 해당 도구를 설정하고 테스트해요. 행사 전에 도구를 익숙하지 않은 팀원에게는 사전에 교육을 하여 편안하게 완전히 참여할 수 있도록 해요.
2) 준비할 사항
진행자는 팀이 잘한 점, 잘못한 점, 개선 방법에 대한 생각을 쉽고 편안하며 비판적이지 않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해요.
회고 미팅의 각 단계에서 의견과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팀을 어떻게 이끌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 해요.
3) 산출물
- 스크럼 마스터[SM]는 책임자[PO]와 백로그에 추가할 개선 스토리를 확인해요.
- PO에게 개선을 위해 스토리를 추가하는데 필요한 것이 있는지 확인해요.
- 회고 미팅에서 사용된 기술, 주제 및 질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이벤트를 촉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팀에 제공해요.
4) 활동 후 조치 사항
- 회고 미팅에서 도출된 작업 항목은 SM과 PO가 논의하여 담당을 정해요.
- 팀이 제안하고 동의한 개선 항목을 추적하는 방법을 찾아요.
- 회고 이후에는 어떻게 되는가?
- 몇 개의 작업 항목이 완료되는가?
- 효과는 무엇인가?
- 팀이 개선 항목의 성공을 측정할 방법을 찾도록 도와요.
- 프로그램 수준의 문제 또는 우려 사항의 경우 PO와 협력하여 RTE와 공유해요.
4. 스프린트 회고의 수행 요령
1) 온라인으로 수행
- 모든 사람이 도구를 다운로드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사용할 도구를 미리 공유해요.
- 팀은 사전에 아이디어나 협의할 내용을 기록할 수 있어, 회의에서는 공유에 집중할 수 있어요.
- 모든 사람이 캠를 켜고 회의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규칙을 정하는 것이 좋아요.
- 진행하는 동안 배경 음악이나 눈에 보이는 카운트다운 타이머를 사용하여 회의의 타임박스를 준수할 수 있도록 해요.
2) 대면 스프린트 회고 진행
회고미팅을 진행할 때 한 주제를 설명, 토론, 마무리하는 역할을 팀원이 차례로 수행하면 사람은 회의 분위기를 신선하게 하고 회의에 집중할 수 있어요.
회고 미팅을 위해 다양한 테마를 활용하여 재미있는 회의 분위기를 만들 수 있어요. 예를 들면 슈퍼히어로 영화의 캐릭터를 “간단히” 형식에 적용하여 평가항목을 영웅, 악당, 승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팀이 처리할 수 있는 개선 항목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문장을 사용할 수 있다.
“우리 팀은 다음 스프린트를 ____________ 할 수 있다.”
전통적인 형식은 “잘한 것/잘못한 것/개선 사항”의 항목을 사용해요. 모든 팀원의 3개의 질문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여 공유하고 개선 항목을 도출해요.
5. 발생할 수 있는 이슈와 극복 방법
모든 일이 항상 완벽하게 진행되지는 않고, 사람은 모두 달라요. 그렇기 때문에 의견의 불일치나 갈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
스크럼마스터는 팀 내 이런 상황을 빠르게 인식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해야 해요.
다음은 스크럼마스터가 직면할 있는 어려움과 극복 방안이에요.
1) 팀이 통제할 수 없는 개선 항목에 집중하고 있는 경우
조직에 이 문제를 제기하도록 제안해요.
또한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브레인스토밍 하도록 팀을 안내해요.
2) 팀이 부정적인 점, 이슈 및 잘 되지 않은 사항에 지나치게 치우치는 경우
잘한 일, 팀의 다른 사람들에 대한 감사에 대해 별도의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팀이 서로의 기여도와 팀 승리를 인정할 수 있도록 계속해야 할 일에 투표하도록 안내해요.
ref.
애자일 실무 가이드(5): 스프린트 회고 (Sprint Retrospectives) - 오픈소스컨설팅 테크블로그
이 자료는 Scaled Agile 사의 “The Facilitator’s Guide to SAFe®”를 참고하였다. 한글로 번역하고, 일부 내용은 삭제, 변경, 추가 하였다. 스프린트 회고는 작업방법, 프로세스, 환경을 개선하여 팀이 더
tech.osci.kr
https://www.marimba.team/kr/blog/top-retrospective-templates/
애자일 회고(Agile Retrospective)를 위한 템플릿 추천 | 마림바 Marimba 블로그
애자일 회고를 위한 추천 템플릿 3가지에 대해 알아보세요. 팀원들과 함께하는 Kpt 회고, start-stop-continue 회고, 4L 회고를 더욱 쉽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최고의 온라인 화이트보드 협업
www.marimba.team
https://brunch.co.kr/@sweetsavasana/40
애자일 회고 진행하는 법
2021년 상반기 끝! 이제, 하반기를 준비해보자. | 얼마 전, 친구 아버지께서 가족 밴드에서 '네카라쿠배'라는 용어를 사용하셨다는 얘기를 전해들었다. 스타트업 출신 회사들의 존재감이 실로
brunch.co.kr
'👥 협업 > 프로젝트 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unication] 개발 회의록 템플릿 V.02 (0) | 2023.08.04 |
---|---|
[Communication] 개발 회의록 템플릿 V.01 (0) | 2023.07.24 |
[Communication] Why do a retrospective? 회고를 왜 하는지 ? (0) | 2023.05.15 |
Git - Pull Request(PR) 매너 및 주의점 !! ***필독*** (3) | 2023.05.13 |

1. 스프린트 회고란?
스프린트 회고는 애자일 팀이 완료된 스프린트 수행에서의 교훈을 정리하고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팀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한 활동이에요. 즉, 개인과 팀의 지속적인 개선 활동이에요. 그리고 보통 스크럼 마스터가 스프린트 회고를 리딩 해요.
2. 스프린트 회고의 중요 사항
2주 스프린트의 경우 1시간 30분 이내로 제한되어 잘한 항목, 잘못한 항목, 개선할 항목을 확인해요.
1) 목표, 회고 형식 및 특정 질문 안내 (5~10분)
스프린트 회고의 목표는 팀이 수행할 수 있는 개선, 작은 개선, 지속적인 개선을 식별하고, 팀이 수행한 방법을 계획하여 작업효율을 개선하기 위하는 데 있어요. 팀원들에게 먼저 회고 목표를 설명하는 것이 좋아요.
- 회고 주제 안내 : 회고를 돌아보게 될 '프로젝트' 혹은 '기간'을 간단히 설명해요.
- 회고 방식 안내 : 아래에 안내될 '회고 진행 순서'를 간단하게 설명해요.
- 회고 원칙 설명 : 회고 참여자들이 지켜야 할 회고의 원칙과 규칙을 설명해요.
- 휴대폰 또는 회고 진행에 방해가 되는 도구들은 회고에 진행되는 동안 사용하지 않아요.
- 모든 발언에는 반드시 '감정'을 배제해요.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진행해 주세요.
- 이슈를 정리할 때는 반드시 '개인 의견'은 배제해요.
- 회고 시간 동안에는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결과가 나오면 받아들여주세요.
2) 온도 체크 (5~10분)
진행자를 포함한 모든 참여자의 컨디션을 확인하는 시간이에요. 어떤 참여자는 컨디션이 좋아 누군가의 발언권을 빼앗을 정도로 의욕적일 수 있고, 어떤 참여자는 컨디션이 안 좋아 금세 감정적인 발언을 할 수 있는데, 이를 미리 파악해서 회고의 과정을 유연하게 만들 수 있어요. 그리고 온도 체크의 과정을 회의 진행 전 아이스 브레이킹 역할을 해줘요. 애자일 회고는 모두가 솔직하게 발언을 하는데 의미가 있어서, 분위기를 풀어주는 온도 체크의 과정이 있으면 좋아요.
- 각자 본인의 오늘 컨디션을 0 ~ 5의 점수로 표현해 주세요.
-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본인의 컨디션 점수를 공개하며 왜 컨디션이 n점인지 간단하게 공유해 주세요.
3) 이슈 도출 / 생각 정리 (15~20분)
회고 중 가장 중요한 과정이에요. 특정 기간, 혹은 프로젝트의 성과에 영향을 주었던 긍정적/부정적 이슈를 도출하는 과정이에요.
팀원들에게 용지나 도구에 자신의 생각을 적도록 해요. 이 과정은 함께 논의하는 단계가 아닌 각자 개인 의견을 도출하는 과정이에요.
15분이 되면 팀원들에게 시간이 더 필요한지 또는 마무리할지 물어보세요.
4) 이슈 리뷰 / 생각 검토 (20~30분)
팀원들이 추가한 생각을 공유하게 하거나 진행자가 적은 내용을 읽어 모든 사람의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요.
최대한 감정을 배제한 상태로 각 이슈를 설명하고, 이 과정에서 비슷한 이슈끼리 그루핑 해서 진행 순서를 결정해요.
그 후 왼쪽부터 순서대로 이슈를 적은 사람이 약 30초 간 해당 이슈를 작성했는지 설명해요.
- 진행자는 비슷한 거나 같은 내용의 이슈가 있는지 확인하며, 설명의 순서를 정돈해 주세요. 이 과정에서 그루핑은 단순 정돈의 수준이고, 큰 주제별로 정돈할 필요는 없어요. 단순히 비슷하거나 같은 이슈만 그루핑 해주세요. 이슈에 대해 발언하는 사람은 해당 이슈가 어떤 이슈인지, 그리고 왜 중요하다고 생각했는지를 요약해서 발언해 주세요.
- 진행자는 이슈에 대한 발언에 따라, 객관적 시각으로 사건들을 정돈하는 발언을 하며, 서서히 특정 주제별로 그루핑 해요. 참여자의 시각에서 봐도 점차적으로 이슈들이 그루핑 될 거예요.
- 모든 이슈에 대한 발언이 끝나면, 최종적으로 이슈 그루핑(3~5그룹)을 완료하고, 이에 대해 정리 발언을 해주세요.
5) 이슈 투표/ 투표 결과 확인 / 행동 및 개선 항목 브레인스토밍 (10~20분)
팀원들이 모든 아이디어를 듣고 새로운 생각을 가질 수 있어요.
참여자들은 그루핑 되어 있는 이슈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슈에 대해 투표해 주세요.
- 현재 잘하고 있으니 발전시켜야 생각하는 이슈와 현재 잘 못하고 있는 이슈인데 꼭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슈로 분류해서 투표해 주세요.
- 각자 잘하고 있다, 개선이 필요하다 이슈에 대한 의견은 충분히 다를 수 있어요.
진행자와 참여자 모두가 함께 투표 결과를 확인하고 중요한 이슈만 남겨둬요. 한 표라도 투표를 받은 이슈를 남겨두고, 0표를 받은 이슈를 제거해 주세요. 투표를 행사한 이유에 대해 각자 간단히 발언하고, '중요도'에 대해 논의하는 순서예요.
최종 이슈를 결정하고, 목표를 확인해 주세요. 최종 이슈가 도출되면 자연스레 생기는 '목표'를 확인해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액션 플랜을 간단하게 브레인스토밍해요. 액션 플랜은 회고 과정에서 몇 번 언급됐을 확률이 높아요.
자유롭게 브레인스토밍하며, 3~5개 정도 리스트업을 하고 이를 모두가 확인 및 인지해요.
6) 토론 종료 (5분)
회고에서 나왔던 결과물을 모두 사진으로 찍어서 기록을 해두고, 기록 툴에 모두 기록해 주세요.
도출된 주요 이슈와 함께 최종 액션 플랜을 정리하여, 위에 함께 기록해 주세요.
3. 스프린트 회고 체크리스트
1) 도구와 기술
- 특정 테마나 목표를 계획하고 있다면 관련된 이미지를 수집하고, 도구를 설정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다른 소품을 미리 준비해요.
- 스프린트 회고 전에 의견과 생각을 미리 메모할 수 있도록 미리 안내해요.
- 회고 미팅 동안 도구를 사용할 경우 행사 전에 해당 도구를 설정하고 테스트해요. 행사 전에 도구를 익숙하지 않은 팀원에게는 사전에 교육을 하여 편안하게 완전히 참여할 수 있도록 해요.
2) 준비할 사항
진행자는 팀이 잘한 점, 잘못한 점, 개선 방법에 대한 생각을 쉽고 편안하며 비판적이지 않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해요.
회고 미팅의 각 단계에서 의견과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팀을 어떻게 이끌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 해요.
3) 산출물
- 스크럼 마스터[SM]는 책임자[PO]와 백로그에 추가할 개선 스토리를 확인해요.
- PO에게 개선을 위해 스토리를 추가하는데 필요한 것이 있는지 확인해요.
- 회고 미팅에서 사용된 기술, 주제 및 질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이벤트를 촉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팀에 제공해요.
4) 활동 후 조치 사항
- 회고 미팅에서 도출된 작업 항목은 SM과 PO가 논의하여 담당을 정해요.
- 팀이 제안하고 동의한 개선 항목을 추적하는 방법을 찾아요.
- 회고 이후에는 어떻게 되는가?
- 몇 개의 작업 항목이 완료되는가?
- 효과는 무엇인가?
- 팀이 개선 항목의 성공을 측정할 방법을 찾도록 도와요.
- 프로그램 수준의 문제 또는 우려 사항의 경우 PO와 협력하여 RTE와 공유해요.
4. 스프린트 회고의 수행 요령
1) 온라인으로 수행
- 모든 사람이 도구를 다운로드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사용할 도구를 미리 공유해요.
- 팀은 사전에 아이디어나 협의할 내용을 기록할 수 있어, 회의에서는 공유에 집중할 수 있어요.
- 모든 사람이 캠를 켜고 회의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규칙을 정하는 것이 좋아요.
- 진행하는 동안 배경 음악이나 눈에 보이는 카운트다운 타이머를 사용하여 회의의 타임박스를 준수할 수 있도록 해요.
2) 대면 스프린트 회고 진행
회고미팅을 진행할 때 한 주제를 설명, 토론, 마무리하는 역할을 팀원이 차례로 수행하면 사람은 회의 분위기를 신선하게 하고 회의에 집중할 수 있어요.
회고 미팅을 위해 다양한 테마를 활용하여 재미있는 회의 분위기를 만들 수 있어요. 예를 들면 슈퍼히어로 영화의 캐릭터를 “간단히” 형식에 적용하여 평가항목을 영웅, 악당, 승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팀이 처리할 수 있는 개선 항목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문장을 사용할 수 있다.
“우리 팀은 다음 스프린트를 ____________ 할 수 있다.”
전통적인 형식은 “잘한 것/잘못한 것/개선 사항”의 항목을 사용해요. 모든 팀원의 3개의 질문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여 공유하고 개선 항목을 도출해요.
5. 발생할 수 있는 이슈와 극복 방법
모든 일이 항상 완벽하게 진행되지는 않고, 사람은 모두 달라요. 그렇기 때문에 의견의 불일치나 갈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
스크럼마스터는 팀 내 이런 상황을 빠르게 인식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해야 해요.
다음은 스크럼마스터가 직면할 있는 어려움과 극복 방안이에요.
1) 팀이 통제할 수 없는 개선 항목에 집중하고 있는 경우
조직에 이 문제를 제기하도록 제안해요.
또한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브레인스토밍 하도록 팀을 안내해요.
2) 팀이 부정적인 점, 이슈 및 잘 되지 않은 사항에 지나치게 치우치는 경우
잘한 일, 팀의 다른 사람들에 대한 감사에 대해 별도의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팀이 서로의 기여도와 팀 승리를 인정할 수 있도록 계속해야 할 일에 투표하도록 안내해요.
ref.
애자일 실무 가이드(5): 스프린트 회고 (Sprint Retrospectives) - 오픈소스컨설팅 테크블로그
이 자료는 Scaled Agile 사의 “The Facilitator’s Guide to SAFe®”를 참고하였다. 한글로 번역하고, 일부 내용은 삭제, 변경, 추가 하였다. 스프린트 회고는 작업방법, 프로세스, 환경을 개선하여 팀이 더
tech.osci.kr
https://www.marimba.team/kr/blog/top-retrospective-templates/
애자일 회고(Agile Retrospective)를 위한 템플릿 추천 | 마림바 Marimba 블로그
애자일 회고를 위한 추천 템플릿 3가지에 대해 알아보세요. 팀원들과 함께하는 Kpt 회고, start-stop-continue 회고, 4L 회고를 더욱 쉽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최고의 온라인 화이트보드 협업
www.marimba.team
https://brunch.co.kr/@sweetsavasana/40
애자일 회고 진행하는 법
2021년 상반기 끝! 이제, 하반기를 준비해보자. | 얼마 전, 친구 아버지께서 가족 밴드에서 '네카라쿠배'라는 용어를 사용하셨다는 얘기를 전해들었다. 스타트업 출신 회사들의 존재감이 실로
brunch.co.kr
'👥 협업 > 프로젝트 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unication] 개발 회의록 템플릿 V.02 (0) | 2023.08.04 |
---|---|
[Communication] 개발 회의록 템플릿 V.01 (0) | 2023.07.24 |
[Communication] Why do a retrospective? 회고를 왜 하는지 ? (0) | 2023.05.15 |
Git - Pull Request(PR) 매너 및 주의점 !! ***필독*** (3) | 2023.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