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고란 무엇인가?
회고란 팀이 정해진 기간동안 해왔던 일들에 대해 돌아보면서 문제점이나 잘한 점을 찾아내어 다음작업에도 좋은 점은 계승하고, 아쉬웠던 점들은 다른 방식을 시도해 끊임없이 개선을 추구하는 것이에요. 반복적이고 점차적으로 가치를 높이는(애자일) 방법이라 할 수 있어요. 즉 회고는 변화의 촉매제 역할을 하며, 팀 전체의 학습이 되며, 새로운 행동을 유발해요. 회고는 단순히 활동의 새로운 개선점을 찾는 것뿐 아니라 프로젝트에 동참한 모든 일원들이 진지하게 사안에 대해 고찰하면서 한층 훌륭한 팀이 될 수 있도록 해줘요.
평가보다는 회고
일단 평가라는 말 자체가에서 주는 위압감(?!)이 있어요. 누군가에게 평가를 받는다는 것은 누구나 긴장이 되는데, 그렇기 때문에 문제에 개선점을 찾기보다는 뭔가 내가 한 일을 드러내기에 집중하게 돼요. 회고라는 말을 쓰면서 가볍게 그동안에 진행 과정을 함께 돌아보며 개선점과 서로 할 수 있는 일들을 함께 찾아봐요.
성과보다 팀워크에 집중
평가는 변화의 성과에 너무나 집중되어 있어요. 물론 성과를 제대로 측정하는 것은 다음 목표를 설정하는 데 중요해요. 그러나 계획 당시에 실행 가능한 구체적인 목표가 제대로 수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성과만을 평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어요. 이윤이라는 명확한 성과가 아닌 소셜 임팩트를 측정해야 해요. 그래서 성과를 만들어내는 시스템과 팀워크에 더욱 집중해서 회고해야 해요.
각 팀원의 역할이 어떤 시점에 어떻게 배분되어야 그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었는지 회고하고 차기 목표 달성을 위한 개선점을 찾아야 해요.
회고의 주기를 짧게
반복적이고 가치를 높이는 회고를 위해서는 그 주기가 너무 길어서는 힘들어요. 활동의 진행과정과 의미 있는 사건들이 제대로 공유되어야 하고, 그 순간에 프로젝트 팀원들의 역할에 대해 되돌아볼 수 있어야 해요. 주요한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월 2회 정도의 회고를 하는 것이 좋아요.
회고를 계획
활동 계획서 자체에 회고에 대한 일정이 기록되어 있어야 해요. 얼마만큼을 주기로 누가 참여할 것인지 정도는 기록되어 있어야 해요. 그리고 회고를 진행하는 것조차 계획하고 준비되어야 해요. 사전 준비하기 - 자료 모으기 - 통찰 이끌어내기 - 무엇을 할지 결정하기 - 회고마무리 단계를 미리 기획하고 진행해야 해요. 그냥 담당자가 자료를 준비하고 감으로 평가하는 회고로서는 변화를 가져오기는 힘들어요.
회고를 하면서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바로 활동도 '사람'이 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즉, 함께 하는 사람의 마음이 모으고 그 모인 만큼만을 가지고 성과를 내는 것이다.
'👥 협업 > 프로젝트 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unication] 개발 회의록 템플릿 V.02 (0) | 2023.08.04 |
---|---|
[Communication] 개발 회의록 템플릿 V.01 (0) | 2023.07.24 |
[Communication] Agile 애자일 스프린트 회고를 진행하는 법 (0) | 2023.05.15 |
Git - Pull Request(PR) 매너 및 주의점 !! ***필독*** (3) | 2023.05.13 |

회고란 무엇인가?
회고란 팀이 정해진 기간동안 해왔던 일들에 대해 돌아보면서 문제점이나 잘한 점을 찾아내어 다음작업에도 좋은 점은 계승하고, 아쉬웠던 점들은 다른 방식을 시도해 끊임없이 개선을 추구하는 것이에요. 반복적이고 점차적으로 가치를 높이는(애자일) 방법이라 할 수 있어요. 즉 회고는 변화의 촉매제 역할을 하며, 팀 전체의 학습이 되며, 새로운 행동을 유발해요. 회고는 단순히 활동의 새로운 개선점을 찾는 것뿐 아니라 프로젝트에 동참한 모든 일원들이 진지하게 사안에 대해 고찰하면서 한층 훌륭한 팀이 될 수 있도록 해줘요.
평가보다는 회고
일단 평가라는 말 자체가에서 주는 위압감(?!)이 있어요. 누군가에게 평가를 받는다는 것은 누구나 긴장이 되는데, 그렇기 때문에 문제에 개선점을 찾기보다는 뭔가 내가 한 일을 드러내기에 집중하게 돼요. 회고라는 말을 쓰면서 가볍게 그동안에 진행 과정을 함께 돌아보며 개선점과 서로 할 수 있는 일들을 함께 찾아봐요.
성과보다 팀워크에 집중
평가는 변화의 성과에 너무나 집중되어 있어요. 물론 성과를 제대로 측정하는 것은 다음 목표를 설정하는 데 중요해요. 그러나 계획 당시에 실행 가능한 구체적인 목표가 제대로 수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성과만을 평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어요. 이윤이라는 명확한 성과가 아닌 소셜 임팩트를 측정해야 해요. 그래서 성과를 만들어내는 시스템과 팀워크에 더욱 집중해서 회고해야 해요.
각 팀원의 역할이 어떤 시점에 어떻게 배분되어야 그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었는지 회고하고 차기 목표 달성을 위한 개선점을 찾아야 해요.
회고의 주기를 짧게
반복적이고 가치를 높이는 회고를 위해서는 그 주기가 너무 길어서는 힘들어요. 활동의 진행과정과 의미 있는 사건들이 제대로 공유되어야 하고, 그 순간에 프로젝트 팀원들의 역할에 대해 되돌아볼 수 있어야 해요. 주요한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월 2회 정도의 회고를 하는 것이 좋아요.
회고를 계획
활동 계획서 자체에 회고에 대한 일정이 기록되어 있어야 해요. 얼마만큼을 주기로 누가 참여할 것인지 정도는 기록되어 있어야 해요. 그리고 회고를 진행하는 것조차 계획하고 준비되어야 해요. 사전 준비하기 - 자료 모으기 - 통찰 이끌어내기 - 무엇을 할지 결정하기 - 회고마무리 단계를 미리 기획하고 진행해야 해요. 그냥 담당자가 자료를 준비하고 감으로 평가하는 회고로서는 변화를 가져오기는 힘들어요.
회고를 하면서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바로 활동도 '사람'이 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즉, 함께 하는 사람의 마음이 모으고 그 모인 만큼만을 가지고 성과를 내는 것이다.
'👥 협업 > 프로젝트 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unication] 개발 회의록 템플릿 V.02 (0) | 2023.08.04 |
---|---|
[Communication] 개발 회의록 템플릿 V.01 (0) | 2023.07.24 |
[Communication] Agile 애자일 스프린트 회고를 진행하는 법 (0) | 2023.05.15 |
Git - Pull Request(PR) 매너 및 주의점 !! ***필독*** (3) | 2023.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