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postgresql.org/docs/current/resources.html 4. Further Information4. Further Information # Besides the documentation, that is, this book, there are other resources about PostgreSQL: Wiki The PostgreSQL wiki …www.postgresql.org4. 추가 정보이 문서, 즉 이 책 외에도 PostgreSQL에 대한 다른 리소스가 있습니다. 위키PostgreSQL 위키에는 프로젝트의 FAQ(자주 묻는 질문) 목록, TODO 목록 및 더 많은 주제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웹 사이트PostgreSQL 웹 사이트에는 최..
분류 전체보기
https://www.postgresql.org/docs/17/notation.html 3. Conventions3. Conventions # The following conventions are used in the synopsis of a command: brackets ([ and ]) indicate optional parts. …www.postgresql.org3. 규칙 명령 시놉시스에는 다음과 같은 규칙이 사용됩니다. 대괄호 [ ]는 선택적 부분을 나타냅니다. 중괄호 { }와 수직선 | 은 반드시 하나의 대안을 선택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점(...)은 앞의 요소를 반복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괄호를 포함한 다른 모든 기호는 문자 그대로 사용해야 합니다. 명확성을 높이기 위해 SQL 명령 ..
https://www.postgresql.org/docs/17/history.html 2. A Brief History of PostgreSQL2. A Brief History of PostgreSQL # 2.1. The Berkeley POSTGRES Project 2.2. Postgres95 2.3. PostgreSQL The object-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www.postgresql.org2. PostgreSQL의 간략한 역사 2.1. 버클리 POSTGRES 프로젝트2.2. 포스트그레스952.3. 포스트그레스큐엘 현재 PostgreSQL로 알려진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작성된 POSTGRES 패키지에서 파..
https://www.postgresql.org/docs/17/intro-whatis.html 1. What Is PostgreSQL?1. What Is PostgreSQL? # PostgreSQL is an object-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ORDBMS) based on POSTGRES, Version 4.2, developed at …www.postgresql.org1. PostgreSQL이란 무엇인가요?PostgreSQL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컴퓨터 공학과에서 개발한 POSTGRES 버전 4.2를 기반으로 하는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RDBMS)입니다. POSTGRES는 훨씬 후에 일부 상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만 사용할 수..

인덱스(Index)란?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자료구조입니다. 인덱스는 특정 컬럼 또는 컬럼들의 조합에 대해 값과 해당 값이 저장된 레코드의 위치를 매핑하여, 쿼리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는 데이터 검색 시 전체 테이블을 스캔하지 않고 인덱스를 통해 빠르게 원하는 데이터를 찾을 수 있게 해줍니다.💡인덱스의 비유인덱스의 개념은 흔히 책의 목차나 색인에 비유됩니다. 책에서 원하는 내용을 찾을 때 모든 페이지를 일일이 넘기기보다 목차나 색인을 통해 빠르게 해당 페이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도 인덱스를 사용하면 전체 테이블을 스캔하지 않고, 인덱스를 통해 원하는 데이터가 있는 위치를 빠르게 찾..
BFS란?BFS (Breadth-First Search)는 너비 우선 탐색 알고리즘으로, 그래프나 트리 구조에서 시작 정점으로부터 인접한 노드를 먼저 탐색하고, 그 다음 레벨의 노드들을 차례대로 탐색하는 방식입니다.자료구조: Queue(큐)탐색 방식: 현재 레벨의 모든 노드를 방문한 후, 다음 레벨로 진행장점최단 경로를 보장하며, 트리의 레벨 순으로 탐색이 가능합니다.구현이 비교적 간단하며, 이해하기 쉽습니다.트리/그래프의 레벨 탐색에 적합합니다.단점큐 사용으로 인해 많은 정점이 저장되면 메모리 사용이 많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그래프가 넓거나, 간선이 많은 경우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BFS의 활용 예시BFS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BFS는 직관적인 탐색 방식은 큰..

Queue 란?Java의 Queue 인터페이스는 FIFO(First-In-First-Out) 구조를 따르는 자료구조로, 데이터가 삽입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즉, 가장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List 인터페이스가 요소의 순서를 유지하며 인덱스를 통해 접근하는 것과 유사하지만,Queue는 주로 순차적인 데이터 처리에 중점을 둡니다. Queue는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작업 대기열 (Task Queue)너비 우선 탐색(BFS)프린터 작업 스케쥴링이벤트 처리 시스템 등Queue의 주요 특징선입선출(FIFO): 가장 먼저 삽입된 요소가 가장 먼저 제거됩니다.제한된 접근: Queue는 맨 앞(front) 또는 맨 뒤(rear)에서만 요소를 추가하거..

클라이언트 IP 가져오기 서버로의 요청이 프록시나 로드 밸런서를 거칠 때 클라이언트의 실제 IP 주소를 정확하게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방법과 프록시 서버, 로드 밸런서 등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기본 방법 : request.getRemoteAddr()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HttpServletRequest 객체의 getRemoteAddr() 메서드를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private String getClientIpAddress(HttpServletRequest request) { request.getRemoteAddr();} 이..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알고리즘과 코딩 테스트를 준비할 때, 자료구조는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자료구조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직화하는 방식으로, 알고리즘은 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절차입니다. 문제 해결을 위해 적절한 자료구조를 선택하는 것을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특히, Java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문제를 해결할 때 적절한 자료구조를 선택하는 것은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자료구조의 기본 분류자료구조는 크게 선형 자료구조(Linear Data Structure)와 비선형 자료구조(Nonlinear Data Structure)로 나뉩니다.선형 자료구조(Linear Data Structure)데이터가 일렬로 연결된 형태입니다.선형 자료구조..

✈️다음 글은 코딩 테스트 스터디를 준비하기 위해 책을 정리한 글입니다.코딩 테스트란?코딩 테스트는 지원자가 알고 있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등을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한국의 중상위 IT 기업은 거의 모두 코딩 테스트를 진행하며, 이 테스트를 통과한 지원자만 다음 면접 과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일반적인 채용 프로세스코딩 테스트에서는 제한 시간 내 기업에서 출제한 문제를 해결하는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 출제되는 문제 개수와 난이도는 기업별로 상이하며, 일반적으로는 4~5문제를 3시간 정도 내 해결해야 하며, 난이도는 프로그래머스 기준으로 2~4 레벨 정도입니다. 제한 시간 내 푼 문제 개수와 시간을 바탕으로 기업은 다음 단계로 넘어갈 지원자를 선택합니다. 따라서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