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Internet)의 개념
인터넷은 말 그대로 전 세계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입니다. 우리가 웹을 사용할 때 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 인터넷의 주요 특징
- 패킷 교환 방식(Packet Switching)
- 인터넷에서 데이터는 패킷이라 불리는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서 전송됩니다. 이 패킷들은 여러 경로로 분산되어 가다가, 도착지에서 다시 합쳐져서 완전한 데이터를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웹 사이트를 방문할 때마다 페이지 내의 텍스트, 이미지, 영상들이 작은 데이터 덩어리로 나누어져 전송됩니다.
- IP 주소
- IP 주소는 인터넷 상에서 각 장치를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고유 번호입니다. 집 인터넷에 연결된 스마트콘, 컴퓨터, TV는 각각 다른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서 인터넷에서 서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의 물리적 연결
- 인터넷은 광케이블, 위성, 무선 네트워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돼 있습니다. 이런 물리적 연결 덕분에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 인터넷의 역사
인터넷은 원래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민간에도 확산되었습니다. ARPANET을 시작으로 인터넷의 기초가 만들어졌고, 1990년대 초반부터 상업적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오늘날의 인터넷이 만들어졌습니다.
🌍 WWW(World Wide Web)의 개념
www는 말 그대로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탐색하고 연결하는 시스템입니다. 우리가 보통 '웹'이라고 부르는 그 시스템이 바로 www입니다. 웹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탐색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도구입니다.
📜 www의 역사
팀 버너스 리(Tim Berners-Lee)는 1989년, 스위스의 CERN에서 www를 구상하게 되었습니다. 그가 만든 HTML, HTTP, URL이 바로 우리가 웹에서 정보를 찾고 탐색하는 방식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 www의 주요 구성 요소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웹 페이지의 구조를 정의하는 언어입니다. 텍스트, 이미지, 링크 등 다양한 콘텐츠가 웹 페이지에서 어떻게 보일지 정의합니다. HTML 덕분에 우리가 보는 웹 페이지들이 정리되고 깔금하게 표시됩니다.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규약입니다. 웹사이트를 요청하면,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와서 브라우저에 표시합니다. 그리고 HTTPS를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안전하게 전송하는 방식으로 보안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주소입니다. 예를 들어, https://www.google.com이 바로 URL입니다. URL을 통해 우리는 각 웹 페이지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www의 발전
- 웹 1.0은 정적인 페이지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정보는 제공되지만,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은 거의 없었습니다.
- 웹 2.0의 시대가 오면서 이제 사용자가 콘텐츠를 생성하고, 소셜 미디어나 블로그 등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웹 3.0은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등 지능형 기술들이 결합되어, 사용자 맞춤형 정보 제공과 분산형 웹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 인터넷 vs. WWW: 무엇이 다른지?
- 인터넷은 전 세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입니다. 우리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을 할 때 이용되는 기반 인프라입니다.
- www는 그 인터넷을 이용해서 정보를 탐색하고 연결하는 시스템입니다.
🔗 웹사이트와 웹 페이지
- 웹 사이트는 여러 개의 웹 페이지가 연결되어 있는 공간입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나 구글처럼 여러 페이지로 구성된 사이트가 웹 사이트입니다.
- 웹 페이지는 그 웹 사이트 안에 있는 하나의 HTML 문서입니다. 페이지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이퍼링크를 통해 다른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 WWW와 웹사이트의 관계
www는 웹 페이지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우리가 URL을 통해 웹 페이지에서 다른 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이유는 www 덕분입니다. 웹 사이트는 웹 페이지들의 집합이고, 웹 페이지를 그 집합 안에서 하나의 단위로 존재하게 됩니다. www는 그 페이지들이 상호작용하고 연결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 결론
인터넷과 www는 우리가 온라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이자, 정보의 중심입니다. 인터넷은 그 기반 인프라를 제공하고, www는 그 위에서 우리가 정보를 찾고 연결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두 개념들 잘 구분하고 이해한다면, 웹 기술의 발전을 더 잘 알 수 있게됩니다. 웹을 사용할 때마다 이 큰 네트워크와 그 위에서 상호작용하는 시스템 덕분에 쉽게 정보를 찾고, 소통하고, 즐길 수 있습니다.
'🐣 Web & Infrastructure > Inter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프로그래밍이란? (1) | 2025.02.25 |
---|---|
What is HTTP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무엇인가? (0) | 2024.07.12 |
How does the internet work ? 인터넷의 작동 원리 (0) | 2023.03.05 |
🖥️ 인터넷(Internet)의 개념
인터넷은 말 그대로 전 세계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입니다. 우리가 웹을 사용할 때 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 인터넷의 주요 특징
- 패킷 교환 방식(Packet Switching)
- 인터넷에서 데이터는 패킷이라 불리는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서 전송됩니다. 이 패킷들은 여러 경로로 분산되어 가다가, 도착지에서 다시 합쳐져서 완전한 데이터를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웹 사이트를 방문할 때마다 페이지 내의 텍스트, 이미지, 영상들이 작은 데이터 덩어리로 나누어져 전송됩니다.
- IP 주소
- IP 주소는 인터넷 상에서 각 장치를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고유 번호입니다. 집 인터넷에 연결된 스마트콘, 컴퓨터, TV는 각각 다른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서 인터넷에서 서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의 물리적 연결
- 인터넷은 광케이블, 위성, 무선 네트워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돼 있습니다. 이런 물리적 연결 덕분에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 인터넷의 역사
인터넷은 원래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민간에도 확산되었습니다. ARPANET을 시작으로 인터넷의 기초가 만들어졌고, 1990년대 초반부터 상업적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오늘날의 인터넷이 만들어졌습니다.
🌍 WWW(World Wide Web)의 개념
www는 말 그대로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탐색하고 연결하는 시스템입니다. 우리가 보통 '웹'이라고 부르는 그 시스템이 바로 www입니다. 웹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탐색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도구입니다.
📜 www의 역사
팀 버너스 리(Tim Berners-Lee)는 1989년, 스위스의 CERN에서 www를 구상하게 되었습니다. 그가 만든 HTML, HTTP, URL이 바로 우리가 웹에서 정보를 찾고 탐색하는 방식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 www의 주요 구성 요소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웹 페이지의 구조를 정의하는 언어입니다. 텍스트, 이미지, 링크 등 다양한 콘텐츠가 웹 페이지에서 어떻게 보일지 정의합니다. HTML 덕분에 우리가 보는 웹 페이지들이 정리되고 깔금하게 표시됩니다.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규약입니다. 웹사이트를 요청하면,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와서 브라우저에 표시합니다. 그리고 HTTPS를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안전하게 전송하는 방식으로 보안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주소입니다. 예를 들어, https://www.google.com이 바로 URL입니다. URL을 통해 우리는 각 웹 페이지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www의 발전
- 웹 1.0은 정적인 페이지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정보는 제공되지만,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은 거의 없었습니다.
- 웹 2.0의 시대가 오면서 이제 사용자가 콘텐츠를 생성하고, 소셜 미디어나 블로그 등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웹 3.0은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등 지능형 기술들이 결합되어, 사용자 맞춤형 정보 제공과 분산형 웹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 인터넷 vs. WWW: 무엇이 다른지?
- 인터넷은 전 세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입니다. 우리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을 할 때 이용되는 기반 인프라입니다.
- www는 그 인터넷을 이용해서 정보를 탐색하고 연결하는 시스템입니다.
🔗 웹사이트와 웹 페이지
- 웹 사이트는 여러 개의 웹 페이지가 연결되어 있는 공간입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나 구글처럼 여러 페이지로 구성된 사이트가 웹 사이트입니다.
- 웹 페이지는 그 웹 사이트 안에 있는 하나의 HTML 문서입니다. 페이지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이퍼링크를 통해 다른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 WWW와 웹사이트의 관계
www는 웹 페이지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우리가 URL을 통해 웹 페이지에서 다른 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이유는 www 덕분입니다. 웹 사이트는 웹 페이지들의 집합이고, 웹 페이지를 그 집합 안에서 하나의 단위로 존재하게 됩니다. www는 그 페이지들이 상호작용하고 연결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 결론
인터넷과 www는 우리가 온라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이자, 정보의 중심입니다. 인터넷은 그 기반 인프라를 제공하고, www는 그 위에서 우리가 정보를 찾고 연결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두 개념들 잘 구분하고 이해한다면, 웹 기술의 발전을 더 잘 알 수 있게됩니다. 웹을 사용할 때마다 이 큰 네트워크와 그 위에서 상호작용하는 시스템 덕분에 쉽게 정보를 찾고, 소통하고, 즐길 수 있습니다.
'🐣 Web & Infrastructure > Inter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프로그래밍이란? (1) | 2025.02.25 |
---|---|
What is HTTP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무엇인가? (0) | 2024.07.12 |
How does the internet work ? 인터넷의 작동 원리 (0) | 202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