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728x90
반응형

1. 기본 네트워크 용어
- 네트워크 (Network) : 두 대 이상의 컴퓨터나 기타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
- 인터넷 (Internet) :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 세계의 컴퓨터를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
- 패킷 (Packet)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작게 분할된 데이터 조각
- 비트 (Bit) : 정보의 최소 단위로, 0 또는 1을 나타냄
- 바이트 (Byte) : 컴퓨터의 정보량 단위로, 8비트를 1바이트라고 함
2. 네트워크 종류 및 구성 요소
- LAN (Local Area Network) : 가까운 거리의 장치들을 연결한 근거리 통신망
- WAN (Wide Area Network) :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원거리 통신망으로 여러 LAN을 연결해 구성
-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 예를 들어, KT, U+, SKT 등
- 서버 (Server)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또는 프로그램
- 클라이언트(Client) : 서버에서 보내주는 정보 서비스를 받는 측 또는 요구하는 측의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3. 보안 관련 용어
- DMZ (Demilitarized Zone) :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한 서브넷으로 네트워크 보안 역할을 함
- 방화벽 (Firewall) :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외부로부터의 불법 접근을 차단하는 장치
4. 프로토콜 및 모델
- 프로토콜 (Protocol):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규칙
- OSI 모델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통신 시스템을 7 계층으로 나눈 국제 표준화 모델.
- TCP/IP 모델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OSI 모델을 4계층으로 단순화한 인터넷 기반 통신 모델.
5. 물리 계층 관련 용어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OSI 모델의 최하위 계층으로, 전기 신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 전기 신호 (Electronic Signal)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전압 변화 신호.
- 디지털 신호 (Digital Signal) : 0과 1의 이진수로 표현된 신호.
6. 데이터 링크 계층 관련 용어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 주소 결정 담당.
- 이더넷 (Ethernet) : 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술.
- MAC 주소 (Medium Access Control address) : 네트워크 장치의 물리적 주소.
7. 네트워크 장비
- 랜 카드 (LAN Card) : 네트워크 연결을 담당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 케이블 (Cable) : 네트워크 장치 간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전선.
- 리피터 (Repeater) : 감쇠된 신호를 재생하여 다시 전달하는 신호 중계 장치.
- 허브 (Hub) : 여러 네트워크 장치를 연결하는 장치.
- 스위치 (Switch) : 패킷을 특정 단말기로 전송하여 네트워크 효율을 높이는 장치.
8. 네트워크 운영 및 관리
- 충돌 (Collision) : 동일한 채널에서 두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현상.
- 전이중 통신 방식 (Full-Duplex Communication) : 양방향에서 동시에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
-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728x90
반응형
'🚀 컴퓨터 지식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네트워크 통신의 이해 : OSI 7계층 모델과 TCP/IP 모델 (0) | 2024.08.22 |
---|---|
[Network] 프로토콜 : 네트워크 통신의 규칙과 표준 (0) | 2024.08.20 |
[네트워크] 네트워크(Network)의 주요 구조와 필요성 (0) | 2024.05.02 |
728x90
반응형

1. 기본 네트워크 용어
- 네트워크 (Network) : 두 대 이상의 컴퓨터나 기타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
- 인터넷 (Internet) :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 세계의 컴퓨터를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
- 패킷 (Packet)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작게 분할된 데이터 조각
- 비트 (Bit) : 정보의 최소 단위로, 0 또는 1을 나타냄
- 바이트 (Byte) : 컴퓨터의 정보량 단위로, 8비트를 1바이트라고 함
2. 네트워크 종류 및 구성 요소
- LAN (Local Area Network) : 가까운 거리의 장치들을 연결한 근거리 통신망
- WAN (Wide Area Network) :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원거리 통신망으로 여러 LAN을 연결해 구성
-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 예를 들어, KT, U+, SKT 등
- 서버 (Server)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또는 프로그램
- 클라이언트(Client) : 서버에서 보내주는 정보 서비스를 받는 측 또는 요구하는 측의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3. 보안 관련 용어
- DMZ (Demilitarized Zone) :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한 서브넷으로 네트워크 보안 역할을 함
- 방화벽 (Firewall) :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외부로부터의 불법 접근을 차단하는 장치
4. 프로토콜 및 모델
- 프로토콜 (Protocol):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규칙
- OSI 모델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통신 시스템을 7 계층으로 나눈 국제 표준화 모델.
- TCP/IP 모델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OSI 모델을 4계층으로 단순화한 인터넷 기반 통신 모델.
5. 물리 계층 관련 용어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OSI 모델의 최하위 계층으로, 전기 신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 전기 신호 (Electronic Signal)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전압 변화 신호.
- 디지털 신호 (Digital Signal) : 0과 1의 이진수로 표현된 신호.
6. 데이터 링크 계층 관련 용어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 주소 결정 담당.
- 이더넷 (Ethernet) : 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술.
- MAC 주소 (Medium Access Control address) : 네트워크 장치의 물리적 주소.
7. 네트워크 장비
- 랜 카드 (LAN Card) : 네트워크 연결을 담당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 케이블 (Cable) : 네트워크 장치 간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전선.
- 리피터 (Repeater) : 감쇠된 신호를 재생하여 다시 전달하는 신호 중계 장치.
- 허브 (Hub) : 여러 네트워크 장치를 연결하는 장치.
- 스위치 (Switch) : 패킷을 특정 단말기로 전송하여 네트워크 효율을 높이는 장치.
8. 네트워크 운영 및 관리
- 충돌 (Collision) : 동일한 채널에서 두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현상.
- 전이중 통신 방식 (Full-Duplex Communication) : 양방향에서 동시에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
-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728x90
반응형
'🚀 컴퓨터 지식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네트워크 통신의 이해 : OSI 7계층 모델과 TCP/IP 모델 (0) | 2024.08.22 |
---|---|
[Network] 프로토콜 : 네트워크 통신의 규칙과 표준 (0) | 2024.08.20 |
[네트워크] 네트워크(Network)의 주요 구조와 필요성 (0) | 2024.05.02 |